전체 글
-
B-Rep와 솔리드 모델링 개요CAD/CAD 이론 2024. 10. 26. 16:29
B-Rep와 솔리드 모델링 개요 B-Rep, 즉 Boundary Representation은 솔리드 모델링에서 객체의 경계를 정의하여 형상을 나타내는 기법이다.이 모델링 방식은 우리가 CAD에서 다루는 대부분의 실체적인 형상을 명확하게 표현해 줄 수 있는 강력한 도구이다. B-Rep의 기본 요소는 꼭짓점(vertex), 모서리(edge), 그리고 면(face)이다. 이 세 가지 요소는 상호작용하며 복잡한 형상을 이루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객체의 면은 모서리로 경계 지어지며, 모서리는 꼭짓점에 의해 정의된다.이렇게 각각의 구성 요소가 상호 의존적으로 관계를 맺어 하나의 완전한 형상을 이루는 것이 B-Rep의 본질이다. B-Rep는 특히 솔리드 모델링의 정확한 경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
-
제품 디자이너를 위한 CAD 프로그램의 LOFT 기능: 비교와 이해CAD/CAD 이론 2024. 10. 25. 08:06
제품 디자이너를 위한 CAD 프로그램의 LOFT 기능: 비교와 이해오늘은 CAD 프로그램에서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기능인 LOF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CAD 프로그램에서의 LOFT 기능을 설명하고, 각 프로그램이 제공하는 기능의 차이점과 장단점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LOFT 기능은 복잡한 곡면을 생성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각 CAD 소프트웨어마다 고유한 특성과 사용법이 있으므로 제품 디자이너들에게 중요한 도구입니다.1. LOFT 기능이란?LOFT 기능은 두 개 이상의 단면 프로파일을 바탕으로 3D 형상을 생성하는 CAD 프로그램의 모델링 도구입니다.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단면을 부드럽게 연결하여 입체적인 형태를 만드는 데 사용되며, 단순한 압출(Extrude)이나 회전..
-
8.5강 : 캐시 미스의 종류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5. 07:55
8.5강 : 캐시 미스의 종류이전의 글에서 다뤘던 캐시미스를 기억하시는지요?바로 이전 글이니 기억하실수도 있고, 이 게시물을 처음 보는 분들이라면 이전 게시물을 보는 것을 추천합니다.캐시미스는 종류가 있습니다. 그 종류와 원인, 그리고 해결 방법에 대해서 이번 시간에 알아보도록 합시다.캐시 미스는 CPU가 요청한 데이터가 캐시에서 발견되지 않을 때 발생하며, 이는 시스템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캐시 미스는 주로 데이터가 메모리 계층에서 어떻게 저장되고, 접근되며, 관리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캐시 미스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컴펄서리 미스(Compulsory Miss), 캐파시티 미스(Capacity Miss), 컨플릭트 미스(Conflict ..
-
8강: 캐시와 메모리 간 상호작용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5. 07:53
8강: 캐시와 메모리 간 상호작용 캐시(Cache)와 메모리 간의 상호작용은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캐시는 CPU와 메모리 사이에서 자주 사용되는 데이터를 빠르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임시로 저장하는 고속 메모리입니다. 이 캐시 시스템은 메모리와 CPU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극대화하고, 지연 시간을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캐시와 메모리 간의 상호작용, 캐시 히트/미스가 메모리 타이밍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캐시 히트와 캐시 미스가 무엇인지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루겠습니다.1. 캐시와 메모리 간 상호작용1.1 캐시의 기본 구조와 계층캐시는 L1, L2, L3의 세 가지 계층으로 나뉩니다. 각 계층은 성능과 용량이 다르며, CPU와 메모리 사이에서 데이터..
-
7.5강 : 용어, 개념 중간 정리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4. 22:50
7.5강 : 용어, 개념 중간 정리이번 7.5강의 내용은 부족한 개념의 보충설명, 이해를 돕기 위한 보충 강의 입니다.용어를 위주로 정리하고, 어려울 것이라 여겨지는 개념들을 한번 톺아보려고 합니다. 1. 메모리의 구조와 데이터 전송 관련 용어메모리 대역폭 (Memory Bandwidth)메모리 대역폭은 메모리가 CPU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속도, 즉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의미합니다. 대역폭이 넓을수록 메모리는 더 많은 데이터를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메모리 채널 (Memory Channel)메모리 채널은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통로입니다. 듀얼 채널 또는 쿼드 채널 구성을 통해 여러 개의 채널이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병렬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각 채널..
-
7강: 메모리 컨트롤러 작동 원리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4. 21:54
7강: 메모리 컨트롤러 작동 원리이번 강의에서는 메모리 컨트롤러의 작동 원리와 이를 기반으로 한 **IMC(Integrated Memory Controller)**의 역할을 깊이 탐구하겠습니다. 또한 DDR4와 DDR5 메모리에서 사용되는 메모리 컨트롤러 간의 차이점에 대해서도 상세히 다루겠습니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CPU와 메모리 간의 데이터 흐름을 관리하는 중요한 장치로, 메모리 성능과 시스템 전체의 효율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1. 메모리 컨트롤러란 무엇인가?메모리 컨트롤러는 CPU가 메모리에 데이터를 읽고 쓰는 과정을 관리하는 핵심적인 하드웨어입니다. 이 컨트롤러는 메모리와 CPU 사이에서 데이터 흐름을 조율하며, CPU가 메모리에 접근할 때마다 발생하는 주소 지정과 데이터 처리 과정을 제어합니다..
-
6강: 메모리 주기와 타이밍 계산 방법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4. 21:39
6강: 메모리 주기와 타이밍 계산 방법이번 강의에서는 메모리 주기와 타이밍 계산 방법에 대해 깊이 탐구하고, 클럭 주기와 타이밍 수치 간의 관계를 상세히 분석해보겠습니다. 메모리 주기는 메모리가 데이터를 읽고 쓰는 데 걸리는 시간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타이밍 수치는 이를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시스템의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메모리 주기를 이해하는 것은 RAM 성능 최적화와 오버클러킹에 필수적이며, CAS Latency (CL), tRCD, tRP, tRAS와 같은 타이밍 수치들이 실제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1. 메모리 클럭과 클럭 주기1.1 메모리 클럭의 기본 개념메모리 클럭은 RAM이 데이터를 읽고 쓰는 빈도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로, 일반적으로 MHz..
-
5강: 램 타이밍 기본 개념과 주요 파라미터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4. 09:28
5강: 램 타이밍 기본 개념과 주요 파라미터이번 강의에서는 램 타이밍의 기본 개념과 이를 구성하는 중요한 파라미터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습니다. RAM의 성능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 중 하나가 **타이밍(Timing)**이며, 이는 데이터를 얼마나 빠르게 읽고 쓸 수 있는지를 결정짓는 핵심적인 요소입니다. 특히, CAS Latency (CL), RAS to CAS Delay (tRCD), Row Precharge Time (tRP), 그리고 **Row Active Time (tRAS)**는 RAM 성능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로, 이를 깊이 이해하면 메모리 성능 최적화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1. 램 타이밍의 기본 개념램 타이밍은 메모리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다양한 지연 시간을 의미합니다. 타이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