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디자이너를 위한 라이노 CAD의 1차, 2차, 3차 곡선 이해CAD/CAD 이론 2024. 10. 22. 12:24
디자이너를 위한 라이노 CAD의 1차, 2차, 3차 곡선 이해많은 디자이너들이 라이노를 사용하지만1차곡선, 2차, 3차를 몰라서 대충 3 때려넣으면 되는거 아닌가? 하는 디자이너 매우 많습니다.디자이너들은 수포자들이 많기에 특히 수학에 대한 이해도가 매우 낮습니다.저는 디자이너라면 이 부분을 부끄럽게 여겨야한다고 생각합니다.수학이 필수는 아니지만 이라고 말하기 싫습니다.수학은 디자이너에게 필수적인 과목이고 모든 직업군에서도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이번에는 “라이노(Rhino)”에서 디자이너들이 자주 다루는 곡선, 즉 1차, 2차, 3차 곡선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곡선의 차수는 디자인 작업의 정밀도와 표현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를 제대로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활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디자인 검증을 위한 CFD(유체역학 해석)와 FEA(유한 요소 해석)의 차이와 이해CAD/CAD 이론 2024. 10. 22. 09:02
제품 설계 과정에서 성능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중요한 단계가 바로 디자인 검증입니다.이를 위해 엔지니어들은 “CFD(유체역학 해석)”과 “FEA(유한 요소 해석)”이라는 두 가지 해석 기법을 주로 활용합니다.이 두 가지 방법은 모두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물리적 현상을 예측하는 방식이지만, 다루는 대상과 분석 방법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CFD와 FEA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각 방법이 디자인 검증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CFD(유체역학 해석)란?CFD(Computational Fluid Dynamics, 전산유체역학)는 유체(액체, 기체)의 흐름을 분석하는 시뮬레이션 방법입니다. CFD는 복잡한 유체의 운동과 그로 인한 현상을 수치적으로 계산하여 예측하는 방식으로..
-
블로그 이전하고 있습니다.블로그/공지사항 2024. 10. 21. 13:08
고스트에서 운영하던거 그냥 티스토리로 옮기는 중임.. 고스트 겁나 불편하고 별로여서... 티스토리가 나을 것 같아...
-
퓨전 360과 라이노의 T-Splines: 관계성과 역사CAD/CAD 이론 2024. 10. 21. 13:07
"T-Splines"는 3D 모델링에서 자유로운 곡면 설계와 수정에 큰 혁신을 가져온 기술입니다. 특히 퓨전 360과 라이노에서 큰 역할을 했던 이 기술은, 두 소프트웨어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T-Splines가 두 프로그램과 어떻게 연결되었고, 그 역사적인 흐름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T-Splines의 시작과 라이노에서의 사용T-Splines는 2003년경 "T-Splines Inc."에서 개발된 기술로, 복잡한 곡면을 쉽게 설계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특히 NURBS 기반의 곡면 설계는 매우 정밀한 형상을 만들 수 있었지만, 복잡한 곡면을 만들거나 국부적으로 수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에 비해 T-Splines는 국부적인 수..
-
STL 파일과 STEP 파일의 차이점 : 3D 파일 포맷의 깊이 있는 이해CAD/CAD 이론 2024. 10. 21. 12:52
3D 모델링을 하다 보면 다양한 파일 포맷을 접하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STL과 STEP 파일은 가장 널리 사용되는 포맷입니다. 하지만 이 둘은 사용하는 용도와 특징에서 큰 차이를 보입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STL과 STEP 파일이 어떻게 다른지, 각 파일이 어떤 상황에 적합한지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쉽게 이해하도록 표로 요약해드리겠습니다.용도3D 프린팅, 단순 형상 공유정밀 CAD 설계, 제품 데이터 교환형상 표현 방식삼각형 폴리곤 메쉬수학적 곡선과 곡면 표현 (NURBS 포함)정밀도낮음 (근사값 표현)매우 높음 (수학적으로 곡면과 곡선 표현)포함 데이터표면 정보만 포함치수, 재질, 구조, 조립 정보 등 전체 설계 데이터파일 크기상대적으로 작음크기가 큼수정 가능성제한적 (비파라메트릭)파라메..
-
3D 모델링: 곡선 기반 vs. 다각형 기반 모델링CAD/CAD 이론 2024. 10. 21. 12:49
3D 모델링에서는 크게 곡선 기반 모델링과 다각형 기반 모델링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두 방식은 형상을 표현하는 방식이 다르고,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CAD나 산업 디자인에서 자주 사용되는 NURBS는 곡선 기반 모델링의 대표적인 방식이고, 폴리곤 메쉬는 다각형 기반 모델링의 대표적인 예입니다. 각 방식의 특징과 차이점, 그리고 어떤 상황에서 적합한지 한번 살펴볼까요? 곡선 기반 모델링 (Curve-based Modeling)곡선 기반 모델링은 곡선과 곡면을 수학적으로 정의해 형상을 만들어가는 방식입니다. 부드러운 곡면과 높은 정밀도가 중요한 설계 작업에서 주로 쓰입니다.NURBS (Non-Uniform Rational B-Splines)곡선 기반 모델링의 대표적인 방식입니다. 제어점과 가중치를 이용..
-
램 클럭이 절반으로 나오는 이유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1. 12:37
컴퓨터 하드웨어 성능을 모니터링할 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프로그램 중 하나가 CPU-Z입니다.CPU, 메모리, 그래픽 카드, 메인보드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이 프로그램에서 RAM의 클럭 속도가 기대한 값보다 절반으로 나오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예를 들어, DDR4 3200MHz 메모리를 장착했는데 CPU-Z에서는 1600MHz로 표시되는 경우입니다.이 현상은 메모리가 잘못 작동하고 있는 것일까요?아닙니다. 이는 정상적인 현상이며, 메모리의 DDR(Double Data Rate) 기술로 인한 결과입니다. 이 글에서는 CPU-Z에서 RAM의 클럭 속도가 절반으로 표시되는 이유와 그 배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DDR의 의미우선, CPU-Z에서 절반의 클럭 속도가 나오는 이유를 이해하려면 D..
-
XMP는 도대체 뭐임? -> 읽어보자PC, 하드웨어/PC 이론 2024. 10. 21. 12:31
XMP(Extreme Memory Profile)는 컴퓨터의 RAM(메모리)을 더 빠르게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입니다. 이 기능은 주로 게임을 하거나 고사양 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컴퓨터가 더 빠르게 작동하도록 도와줍니다. 기본적으로 RAM은 일정한 속도로 동작하지만, XMP를 사용하면 그 속도를 더 높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XMP는 무엇인가요?RAM은 컴퓨터가 여러 작업을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예를 들어, 게임을 할 때 화면에 나타나는 모든 그래픽, 움직임, 소리 등을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데, 이때 RAM이 그 정보를 빠르게 주고받습니다. 그러나 RAM은 항상 최대 속도로 작동하는 게 아니라,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는 기본 속도로 설정되어 있습니다.XMP는 RAM이 ..